아마존 공식 SPN 리머스입니다.
마이크로소프트가 심상치 않다.
올 가을 콘솔 게임기 신작 출시와 대표 타이틀 공개 등으로 게임 풍년이 예고된 가운데
기대 이상의 공격적인 모습을 보여주고 있어 주목된다.
게임 플랫폼 성장에 전력을 다하는 분위기다.
마이크로소프트는 새로운 콘솔 게임기 Xbox 시리즈 S와 시리즈 X를 공개하고 사전예약을 시작했다.
Xbox신제품 뿐만 아니다.
이번 신제품 출시와 맞춰 회사는 스마트폰 제조사는 물론 통신사와도 제휴를 맺으며 다양한 상품을 함께 공개했다.
우신 기존 자체 게임 스트리밍 서비스인 Xbox 게임패스를 더 강화했다.
지난달 국내에도 출시한 게임패스 얼티밋은 데스티니 2, 기어스 5, 용과 같이:극 2 등
100여개 게임을 월 구독료만 내면 Xbox 기기는 물론 모바일 PC등에서 무제한 이용할 수 있는 패스다.
자사 클라우드 게임 서비스 엑스클라우드도 무료로 제공한다.
회사는 자체 구독 플랫폼 강화와 함께 모바일 유저를 잡기 위해 삼성전자와도 손을 잡았다.
갤럭시 노트 20이 공개되며 마이크로소프트와 협업을 소개하며 윈도10 호환성과 함께 강조한 것이
Xbox 게임패스를 이요한 게임 플레이 기능이다.
예약 구매 혜택으로 전용 모바일 거치 컨트롤러도 제공했다.
통신사와 손잡고 게임기와 패스를 동시에 구독할 수 있는 새로운 상품도 개발했다.
아시아 국가 중 유일하게 우리나라도 포함돼 출시한 이 상품은 월 3~4만원에 Xbox 신제품 콘솔과
Xbox 게임패스 얼티밋을 동시에 제공하는 약정 프로그램이다.
SK텔테콤과 함께[ 운영하는 것으로 지난 22일 시작된 사전예약에서 순식간에 매진을 기록했다.
마이크로소프트는 여기서 멈추지 않았다.
유명 게임 스튜디오 베데스다의 모회사 제니맥스 미디어를 인수한 것이다.
인수 금액은 자그마치 75억 달러(약 8조 7500억 원)에 달한다.
폴아웃과 엘더스크롤 시리즈로 유명한 곳이기에 게임 업계는 또 한 번 놀랄 수 밖에 없었다.
베데스다는 가능한 많은 사람들이 자신들의 게임을 즐기길 원한다며 이번 인수로
Xbox 게임패스에 더 많은 자체 게임이 포함되길 바란다고 설명해
마이크로소프트와 위윈하기 위한 인수 전략임을 전했다.
Xbox 신제품 판매 확대를 위한 가격 정책도 공격적이란 평가다.
마이크로소프트는 Xbox 시리즈 X 전용 1TB 확장 스토리지 가격을 220달러로 책정했다.
기본 내장 1TB에 추가 1TB를 확장하는 부품으로 시장에서는 기존에 잘 볼 수 없던
상당히 경쟁력 있는 가력이란 평가다.
같은 시기 신제품을 공개하고 사전 예약 판매를 시작한 소니 플레이스테이션 5는 상대적으로 수세에 몰린 분위기다.
소니 역시 기대보다 더 좋은 가격으로 신제품을 내놨지만 기존 컨트롤러 호환이 안되고
신규 독점 타이틀 가격이 오르는 등 소비자 편의성 부분에서
밀리고 있다는 의견이 나오고 있다.
마이크로소프트는 소니 플에이스테이션 텃밭인 일본 시장에서도
신제품 출시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제품 가격 인하도 결정했다.
회사는 Xbox 시리즈 S 일본 판매 가격을 32980엔으로 공개했지만 예약 판매 시작을 앞두고 29980엔으로 인하했다.
이례적인 것으로 소니 디지털 에디션(39980엔)과 격차를 더 벌려 일본 시장까지 잡겠다는 전략으로 풀이된다.
게임 시장은 클라우드 스트리밍 중심으로 재편 중이다.
기존 전통적인 게임 분야로 나뉘는 것이 아닌 업체들은 PC, 모바일, 콘솔을 모두 아우르는 전략에 집중하고 있다.
신생 서비스의 등장도 가속회되고 있다.
자난 24ㅇ릴 아마존은 자체 클라우드 게이밍 서비스 루나(Luna)를 공개했다.
PC, 파이어TV, 모바일에서 모두 접속할 수 있다. 미국 사용자를 대상으로 초대장 신청중이다.
이보다 앞서 애플과 구글 역시 자체 클라우드 게이밍 서비스를 내놓으며 자신들의 생태계를
게임 시장까지 확장하겠다는 도전장을 내밀었다.
업계는 PC와 콘솔, 게임 타이틀 영향력까지 가지고 있는 마이크로소프트가
현재 이 경쟁에서 유리한 고지에 있다고 본다.
콘솔에 집중된 소니보다 현재 시장 흐름에 더 유리한 포트폴리오를 갖고 있다는 분석이다.
이 때문에 마이크로소프트가 이번 베데스다는 가능한 많은 사람들이 자신들의 게임을 즐기길 원한다며
Xbox 신제품 출시를 계기로 더 공격적으로 나서 시장을 미리 선점하려는 것 아니냐는 의견도 나온다.
우리나라를 비롯한 게임 스튜디오들은 지금의 게임 업계의 변화를 긍정적으로 지켜보고 있다.
기존 온라인, 콘솔, 모바일로 나눠져있던 경계가 허물어지며 유통 채널에 접근하기 쉬워질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다양한 플랫폼이 늘어날수록 게임 산업 자체의 몸집도 커질 것으로 전망된다.
다음에도 유익한 정보로 찾아올께요~
아마존 공식 SPN 리머스
리머스 - 아마존 운영대행/판매대행, 컨설팅/교육, shopify 제작
리머스는 15년 이상의 글로벌 판매 노하우로 amazon 운영대행 전문 기업으로 아마존 판매대행 및 아마존 셀러 교육, 컨셀팅을 진행 합니다.
rimerce.com
(출처)
https://blog.naver.com/tech-plus/222099432067
Xbox 심상치 않네! 왜 이렇게 적극적이지?
마이크로소프트가 심상치 않다. 올 가을 콘솔 게임기 신작 출시와 대표 타이틀 공개 등으로 게임 풍년이 예...
blog.naver.com
'생활 정보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새로 산 중고 아이폰... 혹시 빼돌린 건 아니겠지? (0) | 2020.10.07 |
---|---|
천하의 아마존도 피하고 싶은 '적'이 있다? (0) | 2020.10.06 |
'대륙의 폴드2?' 삼성 폴더블 폰 닮은 샤오미의 특허 공개 (0) | 2020.10.05 |
좁은 실내도 넓은 전장처럼... VR 이동 한계 극복하는 기술들... (0) | 2020.09.29 |
혁신일까 침해일까? 아마존이 발표한 보안용 홈 드론 (0) | 2020.09.28 |